관리자
54
2024-05-21
내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
과제명 | 단일세포 분석연구를 통한 간성상세포와 G-CSF 유도 CD11b+Ly6G+SiglecF+ 세포분화 기전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1839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3-01 ~ 2022-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1. 단일 세포 시퀀싱 분석을 사용한 간성상세포의 역할에 따른 분류2. 특정 간 손상 모델에서 G-CSF 사용 시 조혈 줄기세포가 골수에서부터 간으로 이동하는 기전 규명 3. G-CSF에 의해서 간으로 유도된 조혈 줄기세포와 단일 세포 시퀀싱 분석으로 확인된 면역 조절 간성상세포의 레티놀 대사와 관련한 상호 작용 규명4. G-CSF 투여 후 확인된 조혈 줄... | ||
---|---|---|---|
연구내용 | 1. 연구배경- 현재 간 손상이 진행 되었을 때에 간내 염증을 개선시키는 효과적인 치료제는 부족함, 간 부전이 진행 시 유일한 치료는 간 이식 뿐이나 치료를 받는 환자들의 수는 극히 적음. 알코올 간염 환자들에게서 스테로이드의 사용이 환자들의 생존을 개선시킬 수 있지만 그 효과는 제한적임. - 줄기세포 치료가 개발된 이후 간질환에 G-CSF의 사용이 시도됨... | ||
기대효과 | 1. 본 연구는 현재까지 알콜성 간 질환과 같은 급성 간 손상 환자들의 회복을 위해 G-CSF 매개 조혈 모세포라는 새로운 치료 타깃을 발견하였다는 데에 큰 의의가 있음. 2. 단일 세포 분석을 통해서 항염증 성질을 갖는 세포 집단들과 상호작용하는 간 성상 세포의 특정 타입을 구분하였으며 치료에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함. 3. 이 연구를... | ||
키워드 | 간성상세포, 과립구 콜로니 자극 인자, CD11bLy6GSiglecF 세포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타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임상의학 > 소화기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0,75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