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5
2024-05-21
내역사업 | 보호연구지원사업(1년~5년) |
---|
과제명 |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 달 표면 특성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1976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6-01 ~ 2022-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달은 상대적으로 낮은 중력을 가지기 때문에 표면에 토양 입자들이 쌓일 때 높은 공극률을 가지는 특별한 미세구조를 가진다. 이 미세구조는 태양-달-관측자 사이의 내각(위상각)이 0에서 6도 사이값을 가질 때 급격한 반사율 증가를 나타내는 오포지션 서지 효과(opposition surge effect)의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표토의 미세구조는 달 표면... | ||
---|---|---|---|
연구내용 | 1. 달 표토의 미세구조 표본 설계 - 달 표면의 중력과 표토입자들 사이의 접착력(전기력)를 고려하여 표토가 적층되는 형태를 모델링 한다. 제작할 미세구조 모델은 단일성분 선형 모델과 단일성분 입자 모델, 복합성분 입자 모델로 총 세 그룹이다. 우선 단일성분 선형 모델은 표토의 공극률과 적층 형태를 선형 성분들의 조합으로 단순화한 모델로 실험의 타당성과 ... | ||
기대효과 | 1. 많은 연구자들이 오랜 시간 달 표토의 미세구조를 지상의 실험실에서 재현하고자 했으나 상대적으로 큰 지구의 중력으로 인해 재현하지 못했다. 3차원 프린터를 활용한다는 독창적이며 창의적인 방법을 통해 달 표토의 미세구조를 재현하고 광학 실험함으로써 오랫동안 시도되었던 달 표토의 미세구조 형태를 규명할 것이다. 2. 우리가 만든 표토 미세구조 표본과 달 관... | ||
키워드 | 행성과학,달과학,3차원 프린터,표토,달 탐사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지구과학 > 천문학 > 태양/태양계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우주개발 및 탐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천문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천문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0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