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35
2024-05-21
내역사업 | 글로벌박사펠로우십사업 |
---|
과제명 | 정신질환과 연관된 성적 이형성을 보이는 단백질 ADNP의 기능에 대한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2105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8-03-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자폐증 등의 정신질환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병 되는데, 그 발병률에 성 차이가 있는 경우가 많아, 연구에 한계가 많다. 이러한 정신질환에서의 성적 이형성과, 성적 이형성 그 자체를 연구하기에 ADNP 단백질이 가장 적합하다. 염색질 개조 단백질 ADNP 단백질은 자폐증을 유발하는 핵심 단백질 중의 하나이며, 성적 이형성을 갖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본 ... | ||
---|---|---|---|
연구내용 | I. ADNP 결핍 생쥐를 이용한 자폐증 연구 ADNP 결손 생쥐의 생화학적인 특성, 전기 생리학적인 특성과 행동 양식을 탐구함으로써, 생체 내에서의 ADNP 단백질의 기능과 기능이 결핍되었을 때 나타나는 생쥐의 행동학적인 표현형을 파악할 수 있다. 남성, 여성, 모두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 ADNP 결손시 전기생리학적, 혹은 행동학적인 특성에 성차이가 있을... | ||
기대효과 | 1. 처음으로 신경 회로 수준에서의 ADNP의 생체 내 기능을 파악 할 수 있다. 2. ADNP가 염색질 개조 단백질임으로써, 보다 상위 신호 전달에 관여하기 때문에, ADNP를 이용한 자폐증 기전 연구 통해 자폐증에 관련된 보다 기초적인 발병 기전을 제시할 수 있다.3. ADNP 기능의 성 차이와 그로 인한 자폐증적 표현형 및 하위 유전자의 성적 이형성을... | ||
키워드 | 자폐증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타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발생/신경생물학 > 신경질환생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10,75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