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3
2024-05-21
내역사업 | 지역대학우수과학자지원사업(6년~8년) |
---|
과제명 | HSP90 화학적 저해제인 17-AAG와 E3 ubiquitin 리가아제에 의한 RASopathy 유발 임상돌연변이체 단백질 항상성 조절 기작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2130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6-06-01 ~ 2022-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 HSP90 화학적 저해제인 17-AAG와 E3 ubiquitin 리가아제에 의한 RASopathy 유발 임상돌연변이체 단백질 항상성 조절 기작 연구 - RAS-BRAF-MEK-ERK 신호전달 과정의 이상으로 인해 야기 되는 질환이 RASopathy임 - 악성피부암, melanoma, 심장-안면-피부-복합질환, CFC-syndrome, 등이 대표적인 RA... | ||
---|---|---|---|
연구내용 | - BRAF 돌연변이로 인해 외부 자극 없이 RAS 신호전달과정 하위 인자들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어 다양한 RASopathy 질환을 야기하게 됨. 그러므로 BRAF 임상돌연변이체의 단백질 안정성을 조절할 수 있는 신규 인자를 발굴하는 것은 RASopathy 질환제어연구에 있어 대단히 중요함 - 현재까지 정상적인 BRAF 표적이 가능한 E3 유비퀴틴 리가아... | ||
기대효과 | 1. RASopathy-PSIMAP 완성을 기반으로 하여 난치성 질환 및 척추동물 배아 발생과정에서 미개척 분야로 남아있는 “Chaperone-UPS-based Proteostasis Network”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완성함으로서 단백질 항상성 연구의 주도적 기반기술 확보 및 학문적 기초를 제공함2. 발생과정 유래 'Chaperone 활성 화학적 저해제-... | ||
키워드 | RASopathy,BRAF,단백질 항상성,심장 안면 피부 복합질환,악성 피부암,유비퀴틴 리가아제,17-AAG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약리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