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열수분출구 서식 다모류 고유종(endemic species)의 형태 및 분자계통 분류학적 연구를 통해 이들의 열수분출구 이주·정착 및 종분화 과정을 규명하고 관련 전문 연구 인력을 양성하고자 하며 년차별 목표는 아래와 같다. - 남서태평양 열수분출구 서식 다모류 고유종 발굴 및 분류- 인도양 열수분출구 서식 다모류 고유종 발굴 및 분류- 열수분출구 서식 ... |
| 연구내용 |
원시지구환경과 매우 유사한 극한환경(고온, 고압, 고농도 중금속, 빈산소 등)을 보여주는 열수분출구 지역은 빛을 에너지원으로 하는 육상 광합성 생태계와 달리 황화수소, 메탄, 수소를 주 에너지원으로 이용하는 단세포성 생물에 기초한 화학합성기반 생태계를 형성한다. 육상/연근해와 다른 독특한 생태계를 보여주는 이곳은 종다양성 및 고유종의 비율(85% 이상)이 ... |
| 기대효과 |
- 심해 열수분출구 서식 생물 연구에 대한 국내 저변 확대 및 전문 연구인력 양성 기대한다.- 생생물다양성 및 생물지리학적 연구를 통한 생물의 이주·정착 등과 관련한 진화 과정 규명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 극한 환경에서의 생물 적응 기작 이해를 통해 중금속 등 환경오염 요인에 대한 생물내성력(탈독성화 기작 등) 규명은 보건의료 분야의 산업화를 위한... |
| 키워드 |
화학합성생태계 ,열수분출구 ,다모류 ,계통분류학 ,생물다양성 ,미토게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