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5
2024-05-21
내역사업 | 창의도전연구기반지원 |
---|
과제명 | 빅데이터 해석을 통한 대도시권 광역통행 패턴 및 광역교통서비스 형평성 분석 | ||||
---|---|---|---|---|---|
과제고유번호 | 1345332917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6-01 ~ 2023-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6-01 ~ 2022-02-28 |
연구목표 | - 교통 및 관련분야에서 수집되고 있는 다양한 빅데이터의 해석을 통하여 대도시권 광역통행 분석 방법론 개발, 광역통행 패턴 및 지역별 광역교통서비스 형평성 분석을 목적으로, 전반적인 대도시권 광역교통 실태 진단 및 광역교통개선 정책적 기반자료 제시 목표가. 대도시권 광역교통의 정의 및 범위 조사나. 대도시권 광역통행 분석을 위한 활용 가능 자료 검토 및 분... | ||
---|---|---|---|
연구내용 | 1) 대도시권 광역교통의 정의 및 범위 조사, 광역통행 분석 가능 자료 검토 (1차년도 1~2/4)가. 대도시권 광역교통의 정의 및 범위 조사나. 대도시권 광역통행 분석 가능 자료 검토: 인프라 기반자료(광역단위 도로 네트워크, 광역대중교통수단 목록, 광역환승센터 등), 통행자료(개인형 공유이동수단 자료, 광역알뜰교통카드 자료, 스마트 교통카드 자료, 도로... | ||
기대효과 | 1. 정책적, 사회적 측면의 기대효과1) '한국판 뉴딜', 디지털 뉴딜의 '데이터 댐' 기조의 일환으로 효과 기대: 다양한 매체에서 수집되는 데이터를 수집·가공·활용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도출하고, 데이터 기반으로 광역교통에 대한 정책적·사회적 시사점을 발굴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 정부의 기조와 일치2) 대도시권 광역교통 개선사업에 활용가능한 기반 자료 제공... | ||
키워드 | 광역교통, 통행패턴, 대도시권, 교통서비스 형평성, 빅데이터 해석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건설/교통 > 국토정책/계획 > 교통계획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기타 공공목적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52,5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