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연구 개발 목표 : 지진관측기록의 기계학습을 통한 미계측 지역의 지진특성 추정2016년 경주 지진 이후 지진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졌으며, 큰 지진에 대비하기 위한 관심 및 연구들도 증가하였다. 지진을 대비함은 물론 지진 발생 후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후속 대처도 중요하다. 대상 구조물의 가속도를 직접 알 수 있는 것이 최선이지만, 대부분 가속도계가 설치... |
| 연구내용 |
- 1차 연도 : 지진관측기록 데이터 DB화 및 미계측 지역의 지진특성 추정 알고리듬 선정● 기계학습을 위한 지진관측기록 데이터 확보 및 선정작업 수행국가지진종합정보시스템에서 약 250개소의 지진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연구에 사용할 Raw data의 개수는 최소 130만여 개 정도 되므로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알고리듬을 구축하는 데에 반년 정도 걸릴 ... |
| 기대효과 |
- 지진사례들을 통한 내진설계 기준 마련구조물이 건설되는 위치의 지진가속도 특성을 추정할 수 있게 된다면, 주파수 영역별로 지반 증폭효과를 고려할 수 있으며, 국내에 더 적합한 내진설계 기준이 마련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지진재해 발생 시 긴급 구조물 안전성 평가에 신속 대처 기대특정 지역에 지진이 발생하였을 시 지진 피해가 클 것이라 예상하는 지역 ... |
| 키워드 |
지진재해,기계학습,미계측 지역,피해 예측,지진가속도,인공신경망,지진 특성 추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