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의 최종 목표는 주민들이 일상생활 속에서 의미있는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공유하고 이를 토대로 로컬택트 활동을 연계할 수 있는 로컬택트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실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일상적 데이터의 자발적 공유 촉진에 특화된 플랫폼 개념 모델을 구축하고 실제 서비스 플랫폼으로 개발하여 현장에 적용하고 상용화를 추진하고자 한다. |
| 연구내용 |
1차년도에는 로컬택트 서비스 플랫폼의 개념 모델을 구축한다. 로컬택트 활동을 위한 자원으로 가공될 수 있는 일상적 데이터의 유형을 정의한다. 이를 바탕으로 플랫폼을 통해 수집될 일상적 데이터의 가공 및 분류 방식, 자원 매칭 방식을 정의하여 플랫폼 워크플로우를 개발한다. 일상생활에서 주민들이 데이터를 자발적으로 공유하기에 적합한 맥락을 파악하여 데이터 공유... |
| 기대효과 |
본 연구개발성과는 참여적 디자인, 데이터 주도 (data-driven) 디자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디자인 분야에서 ICT 기반 커뮤니티 디자인 도구 및 리빙랩 도구, 지역특화정보 (HyperLocal)를 위한 데이터처리기술을 개발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또한, ICT 솔루션 기반 로컬택트를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기업의 비즈니스 구상과 정부의 도시재생... |
| 키워드 |
로컬택트,시민 참여 디자인,공동 디자인 도구,공공 인터랙션 디자인,O2O 서비스 디자인,도시재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