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근 항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이 면역조절에 중여한 물질로 초기에 면역 억제 및 항 염증 작용을 한다고 알려짐. 하지만 치료 목적으로 사용되는 IL-10은 분자량이 큰 재조합 단백질로 생산하기에 비싸며, 환자에게 투여 시 승인을 받아야 되는 번거로움이 있음. 따라서 IL-10의 생산을 유도할 수 있는 대체제의 개발이 시급함. M. avium subs... |
| 연구내용 |
처음 1년간은 Dextran sulfate sodium (DSS)를 이용한 최적의 염증성 장 질환 모델을 구축 하고, 선행연구에서 선정된 MAP1889c의 최적의 접종경로 및 접종량을 선정함. 결과를 바탕으로 2년차에 MAP1889c의 염증 조절 면역기전 분석 및 관련 인자 분석 과 재조합 MAP1889c_M.smegmatis를 제작함. 3차년도에는 MAP... |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검증한 MAP1889c의 염증 조절 능력 및 기전 규명은 학술적 효과와 함께, 독창적인 항염증 치료 타깃 발굴을 통해 항염증 조절 물질을 이용한 염증성 질환들의 치료 전략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최근 10년간 우리나라의 크론병과 궤양성 대장염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음. 현재 염증성 장 질환에 사용되어지는 치료법인 장 절제 수술 및 약물치료... |
| 키워드 |
염증성 장 질환,Interleukin 10, T helper cell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