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야생담배의 꽃잎으로 수행한 단일 세포 RNA 시퀀싱 결과와 향기 물질인 벤질아세톤 발산이 거의 되지 않는 ztl KO 라인, 그리고 꽃잎에서 이틀 동안 시간별로 수행한 RNA 시퀀싱 결과를 토대로, 생체시계가 어떠한 전사인자를 통해 향기 물질의 합성과 발산을 조절하는지를 알아내고자 한다. 이때 구축한 방법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산업성이 높은 장미의 향기를 ... |
| 연구내용 |
야생담배 꽃잎으로 수행한 단일 세포 RNA 시퀀싱 결과를 이용하여, 벤질아세톤 합성의 첫 번째 효소 유전자(PAL4)에 대한 cell by cell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값이 높은 유전자들을 선별하였고, 여기는 다수의 전사인자도 포함되어 있다. 야생담배는 밤에만 향기를 내뿜고, 이것은 생체시계에 의해 조절된다. 실험실에... |
| 기대효과 |
식물의 2차대사물질은 제약, 생활용품, 향수 산업등에 원료로 많이 사용되고 있고 그 활용 범위가 점점 커지고 있다. 그 중 향수 산업은, 해가 갈수록 전 세계 아로마 사업의 규모가 비약적으로 커지고 있는데 반해, 국내 식물 정유 산업은 가격 경쟁력이 낮다. 본 연구를 활용하면, 최근 코로나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화훼농가도 단순히 관상용으로 꽃을 파는 것... |
| 키워드 |
전사인자 규명,단일 세포 RNA 시퀀싱,기체크로마토그래피 질량분석장비,RNA seq, ChIP seq,장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