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D 정보

과제 상세정보

목록

우리 은하 거대 중성수소운과 분자운의 특성 및 별 탄생률 연구

작성자

관리자

조회수

38

등록일

2024-05-21

사업 정보
내역사업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우리 은하 거대 중성수소운과 분자운의 특성 및 별 탄생률 연구
과제고유번호 1345341018
부처명 교육부
시행계획 내 사업명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예산출처지역 대전광역시 사업수행지역 대전광역시
계속/신규 과제구분 신규과제
과제수행연도 2021 총연구기간 2020-09-01 ~ 2023-05-31 당해연도 연구기간 2021-09-01 ~ 2023-05-31
요약 정보
연구목표 무거운 별 생성과 진화는 은하 진화를 이해하는데 반드시 요구되는 과정이다. 따라서 별 생성과 진화는 현대 천문학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 중 하나이다. 별은 밀집한 분자운에서 만들어지고 분자운은 중성수소가스로 둘러싸여 있다고 여겨지기 때문에 은하 내 분자운 및 중성수소가스와 같은 성간물질 연구는 별 생성의 근본이 되는 물리 과정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
연구내용 ■ 카리나 나선팔의 거대중성수소운과 거대분자운의 물리적 특성과 별 탄생률 사이의 상관관계 규명 우리 은하 카리나 나선팔에서는 거대분자운과 별생성복합영역의 요람이 되는 거대중성수소운이 두드러지게 보이고, 성간운이 일정한 간격으로 나선팔을 따라 분포하는 것으로 관측된다. 이러한 특징은 큰 규모의 중력 불안정으로 설명될 수 있으며, 별 생성 또한 자연스럽게 큰 ...
기대효과 본 연구에서 구축하는 분자운과 중성수소운의 목록은 국내외 천문학계의 우리 은하뿐만 아니라 외부 은하 연구를 위한 활용 측면에서 크게 가치 있다. 60-70년 전파 관측 초기 시절 우리 은하 내 거대중성수소운과 거대분자운의 연관성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고, 최근 첨단 관측 장비 (ALMA 등)의 출 현으로 고분해능 자료를 이용한 우리 은하 내 별생성영역에 대...
키워드 성간물질,성간운,우리 은하,은하 구조,나선팔,별생성,별생성영역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기업 대학 국공립(연)/출연(연) 외국연구기관 기타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기타 산업기술분류
미래유망신기술(6T) 기타 기술수명주기
연구수행주체 과학기술표준분류 자연 > 지구과학 > 천문학 > 성간물질/별생성
주력산업분류 적용분야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중점과학기술분류 과제유형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명 한국천문연구원 사업자등록번호
연구책임자 소속기관명 한국천문연구원 사업자등록번호
최종학위 박사 최종학력전공 이학
사업비
국비 45,000,000 지방비(현금+현물) 0
비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