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자는 박사후국외연수 사업을 통해 박사후국내연수 사업 기간에 수행한 선행 연구 결과를 발전시켜 세계 최고 수준의 “뇌신경 신호 기록 집적 회로”를 개발하고자 하며, 이는 양방향 신경조절 시스템과 뇌-기계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데 필수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집적회로의 제작 기간이 2~4 개월 정도 소요되는 점과 1년의 과제 기간을 고려하였을 때,... |
| 연구내용 |
증폭기를 사용하는 뇌신경 신호 기록 회로에서 증폭기의 이득을 높게 사용할수록 전력 소모량을 줄일 수 있으며, 낮게 사용할수록 넓은 동적 범위를 얻을 수 있다. 그러므로 방해 신호 크기가 작을 때는 증폭기의 이득을 크게 사용하고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의 분해능을 낮게 사용함으로써 전력의 효율성을 높이며, 방해 신호 크기가 클 때는 증폭기의 이득을 작게 사용하... |
| 기대효과 |
뇌신경 신호 기록 집적 회로의 저전력화, 저잡음화 등에 관한 연구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왔다. 집적 회로 분야의 가장 권위있는 학회와 학술지인 IEEE ISSCC, IEEE JSSC를 비롯하여 최고 수준 학회인 IEEE SOVC, IEEE A-SSCC 등의 최근 결과물을 보면 저전력, 저잡음 특성을 유지하며 넓은 동적 범위를 달성하는 뇌신경 신호 기... |
| 키워드 |
양방향 신경조절 시스템,양방향 뇌신경 인터페이스,저전력 뇌신경 신호 기록 집적 회로,넓은 동적 범위 뇌신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