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고차원 위상을 갖는 과진동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밝히고, 이를 초분해능 현미경에 응용한다.● [고차원 위상을 갖는 빛의 성질 규명] 고차원 위상 (topology)을 갖는 과진동 (super-oscillation) 빛의 물성을 미세입자와의 상호작용의 관점에서 이론적으로 정립한다.● [벡터 과진동 빛의 성질 규명] 지금까지 다루어져 왔던 스칼라 과진동 ... |
| 연구내용 |
[고차원 위상을 갖는 과진동 빛의 성질 규명] - 2021년 하반기 달성 목표■ 본 과제에서는 먼저 과진동 (super-oscillation) 빛의 성질과, 과진동 빛에 대한 물질의 산란 특성을 설명하는 이론 모델을 정립한다.- 과진동 빛은 전파 가능한 제한된 공간주파수 대역을 뛰어넘는 공간주파수 성분을 가진다. 과진동 현상에 대한 수학적인 논의는 수십 년... |
| 기대효과 |
과진동 (super-oscillation)에 관한 수학적인 이론은 수십년전에 밝혀졌지만, 아직 고차원 위상을 가지는 과진동 빛이 어떻게 물질과 상호작용하고 어떤 산란 특성을 보이는지는 이론적으로 엄밀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또한, 최근 몇 년 사이의 연구에서, 과진동 빛이 위상 특이점 근처에서 보이는 매우 큰 국소 파수 벡터가 평면파 등의 파수벡터에 비해 매... |
| 키워드 |
과진동,초분해능,위상 특이점,편광 특이점,에너지역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