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2
2024-05-21
내역사업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
과제명 | 분자운에서의 별 생성에 대한 필라멘트 구조의 역할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1629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9-01 ~ 2024-08-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9-01 ~ 2022-08-31 |
연구목표 | 본 연구에서는 3차원 분자선 자료를 통해 별이 생성되고 있는 성간분자운의 필라멘트 구조를 동정하고 필라멘트와 고밀도 분자운핵의 생성기원, 젊은 별의 생성 및 진화 과정, 주변 환경의 화학적 특성을 밝히는 동시에, 난류운동 수치모델실험을 통해 필라멘트를 구현하여 이론적으로 뒷받침하는 것이 목적이다. 고질량 별생성 영역인 오리온B와 중질량 별생성 영역인 페르세... | ||
---|---|---|---|
연구내용 | 전통적인 별 생성 이론으로는 현재 관측적으로 밝혀지고 있는 분자운의 필라멘트 구조와 별 생성의 관계를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필라멘트 구조의 형성 기작과 분자운핵의 물질 강착 및 환경에 따른 별 생성 과정의 차이 등을 알기 위해서는 분자운 내의 필라멘트 및 허브 구조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필요하다. 고분해능이라 할지라도 2차원 연속선 관측 자료로는 시선방향... | ||
기대효과 | 현재까지 연속파를 통해서 필라멘트를 동정한 연구와는 달리, 분자선 관측 자료를 정밀히 분석하여 필라멘트를 동정할 수 있으며 각기 다른 영역을 추적하는 여러 분자선을 활용하여 별 생성 영역의 특성을 다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또한, 필라멘트의 동역학적 작용 및 화학적인 분포가 별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허브-필라멘트 구조와 별 생성의 관계를 탐구함... | ||
키워드 | 별생성,필라멘트,전파관측,성간분자운,난류운동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지구과학 > 천문학 > 성간물질/별생성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