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6
2024-05-21
내역사업 | 이공분야학문후속세대양성_박사후국내연수 |
---|
과제명 | IFN-γ 매개 항결핵활성반응에 대한 IL-17의 상승작용 기전 규명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1683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9-01 ~ 2024-08-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9-01 ~ 2022-08-31 |
연구목표 | 최근 결핵치료를 위한 항결핵제 사용은 결핵균의 빠른 내성획득으로 인하여 한계점을 보임. 따라서 숙주의 면역반응의 조절을 통하여 결핵균을 제어하는 immunochemotherapy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특히 결핵은 다양한 면역반응 중 T 세포의 면역반응이 매우 중요하며, 최근에 Th1반응만으로는 결핵균 제어가 힘들다고 알려졌으며 추가적으로 Th17의... | ||
---|---|---|---|
연구내용 | CORO1a 조절인자 규명‣ IFN-γ/IL-17에 의한 CORO1a의 발현조절이 실제 발현을 조절하는 것인지, 세포 내의 재배치를 조절하는지 확인 ‣ CORO1a의 retention에 관련되있다고 알려져 있는 LRG47의 발현을 확인‣ LRG47의 siRNA를 제작하여 발현 억제시 CORO1a의 re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지 confocal을 활용해... | ||
기대효과 | ▶ 활용방안IFN-γ와 IL-17의 상호작용기전을 확인하여, invitro 및 invivo실험시 Th1과 Th17의 역할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음. 또한 다양한 조절인자들을 제어하여 결핵 백신 연구시 보다 좋은 효과를 얻을수 있을 것으로 생각됨. 이런 기초적인 연구 결과를 통하여 더욱 활발한 후속 연구를 유도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임상적 연구 진... | ||
키워드 | 결핵균,인터페론 감마,인터류킨 17,항결핵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의생명과학 > 미생물/기생생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6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