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개발과제는 다음의 가설 및 추론에 대한 검증을 최종 목표로 설정한다.가설 1. Trehalose 및 glycogen의 농도 증가 및 이에 따른 점도 증가가 ribonucleoprotein 간의 상호작용을 약화시켜 자기조립 과정을 방해하고 스트레스 과립 형성을 저해한다. 가설 2. 점도 조절로 인한 스트레스 과립 형성 및 분해 속도 변화가 세포 내 단... |
| 연구내용 |
본 연구에서 설정한 최종 목표 달성을 위한 세부연구내용는 다음과 같다.- 연구 1. 점도 변화에 따른 ribonucleoprotein의 자기조립 및 nucleation dynamics 연구스트레스 과립 구조 형성에 참여하는 단백질을 탐색 후 과발현 및 정제한다. 이후, ribonucleoprotein의 액체-액체 상분리 현상 유도를 통해 시험관 내에서 스트... |
| 기대효과 |
- 관찰연구 중심의 세포 스트레스 반응 연구에서 나아가, 생체 분자 상호작용 분석을 통한 스트레스 과립 형성 및 단백질 품질 관리에 대한 분자 수준의 메커니즘을 밝혀낼 것이다. 생명 활동에 대한 물리화학적 관점의 새로운 이해를 제공하며, 물리적 세포 환경 변화에 따른 독성 단백질 형성 억제를 통한 퇴행성신경질환 치료의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할 것이다.- 아직... |
| 키워드 |
스트레스 반응, 무막 세포 소기관, 스트레스 과립, 단백질 항상성, 세포 점도 조절, 점성 적응, 트레할로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