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종목표: 우울증이 유발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한약재로부터 유래된 소재들의 항우울 및 항비만 효과 검증 -본 연구에서는 뇌에서 한약재 유래 물질들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 등에 의해 증가된 miRNA 발현과 ER stress 상태의 조절에 기여함을 확인하고 비만과 우울증에 동시에 적용될 수 있는 염증성 반응, 신경전달물질 조절, 대사 조절 등과 관련된 tar... |
| 연구내용 |
1차연도:?3T3-L1 지방세포에서 지방 축적 억제 효과를 나타내는 한약재 유래 소재 탐색?PC12 뇌신경세포에서 ER stress 및 우울증 관련 인자들의 조절에 기여하는 한약재 유래 소재 탐색 ?우울증이 유발된 비만 동물 모델 확립 - 체중 및 비만 유도 호르몬과 사이토카인 증가 확인을 통해 비만 유도 여부 확인 - 동물 행동 평가, 혈액... |
| 기대효과 |
○ 우울증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 2005년 대비 2015년 기준 18.4% 증가했으며 이는 기대수명이 늘어난 것을 원인으로 인류에게 가장 큰 부담을 초래하는 10대 질환 중 3위로 보고하였으며, 2030년에는 1위가 될 것으로 예측함(8). 비만으로 인한 사회경제적 손실은 '06년 4.8조에서 '15년 9.2조원으로 증가되었고 고령화 등으로 더욱 가속... |
| 키워드 |
우울증,비만,한약재,소포체 스트레스,마이크로RN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