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하천 지형은 유수와 유사에 의한 침식, 운반, 퇴적 등의 작용으로 인해 형성되는, 크게는 하천의 형태(예, 직류하천, 곡류하천, 복렬하천 등), 작게는 서식처 구조 (여울과 소, 웅덩이, 습지 등)를 의미한다. 하천의 형태나 서식처 구조는 수리·지형적 변수로 설명 가능함과 동시에 하천의 서식처 조건과 생물다양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하천 지... |
| 연구내용 |
목표 달성을 위하여 수행해야 할 연구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1. 하천 지형을 평가 대상으로 사용하기 위한 정량화 (구간 및 항목 선정) - 항공사진, 단면도와 같은 이미지 자료 수집 - 대상지의 구간 설정 및 하천 지형 분류 항목 (대규모: 굴곡도, 하폭/수심 등, 소규모: 서식처 개수 등) 선정 - 항공사진을 이용하여 하천 지형 항목별 수치화2.... |
| 기대효과 |
■ 수생태를 위한 하천 관리 패러다임 변화 본 연구는 수생태-지형-유량·유사량 과의 인과관계를 이해하고 분석한다. 이를 하천관리에 이용하면 수생태는 관리주체, 하천지형은 관리대상, 유량이나 유사량은 조절대상이라 할 수 있다. 수생태를 관리하기 위하여 일정 지형 형상의 유지가 필요하고, 지형의 유지를 위해서는 최소 유량 및 유사량의 공급이 필요하다. 즉... |
| 키워드 |
하천 지형,생태적 평가,서식처 구조,수치모델링,환경생태유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