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70
2024-05-21
내역사업 | 기본연구(1년~5년) |
---|
과제명 | 콘크리트의 시공품질에 따른 내구성능 정량화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3310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8-06-01 ~ 2023-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기존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내구성 설계는, 콘크리트의 시공품질(construction quality)을 고려하지 않고 완벽한 상태로 재료가 사용되었다고 가정하여 내구연한을 평가하여 이루어진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특성 상 시공현장 조건, 작업자의 능숙도 등에 따라 콘크리트의 시공품질이 결정된다. 이 때, 시공품질이 낮은 콘크리트... | ||
---|---|---|---|
연구내용 | 본 연구의 목표 달성을 위해, 1차년도에는 콘크리트 재료분리 현상에 대한 레올로지 모델링을 수행하고자 한다. 레올로지-시공품질 관계를 규명하고, 레올로지 제어를 통한 시공품질의 정량화한다. 2차년도의 목표는 시공품질 정량화를 위한 콘크리트의 재료 건전도를 정의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동일한 호칭강도에 대해서도 다양한 시공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공시체 제작... | ||
기대효과 | 콘크리트표준시방서에 따르면 시공 시 슬럼프, 공기량 측정 등을 통한 받아들이기 검사로 콘크리트의 품질을 관리하는데, 이 때 심각한 재료 결함이 발견되면 구조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납품된 콘크리트의 사용을 중지한다. 위와 같은 현재의 콘크리트 품질 관리 방법으로는 심각한 결함을 제외한 일반적인 품질저하를 확인할 수 없다. 본 연구는 저품질 콘크리트에 대... | ||
키워드 | 콘크리트,레올로지,시공품질,재료일체성,내구성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건설/교통 > 건설시공/재료 > 건설구조재료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설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