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본 연구가 지향하는 최종 연구 목표종양형성 미세환경에서 Tescalcin과 PD-L1의 관계를 규명하고, 그 조절 기전을 연구하여 Tescalcin 발현 대장암세포의 면역회피 기전을 억제함으로 종양형성 제어기술 확립 및 치료제 개발 ○ 연구목표‣ 대장암 진단표지자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한 Tescalcin과 암세포 면역회피 유도 인자 PD-L1의 관계 규명... | 
                            
                            
                                | 연구내용 | 
                                ○ 대장암 Syngeneic mouse tumor model 구축- Nude mouse xenograft tumor model은 암세포와 숙주면역체계의 연관성을 조사하기 어려움. ○ CRISPR/Cas9 플랫폼을 이용한 Tescalcin knock-out 세포 모델 확립 및 PD-L1 발현 확인‣ Tescalcin knock-out 세포 모델을 확립하기 위... | 
                            
                            
                                | 기대효과 | 
                                ○ 대장암 관련 분야 및 과학적 지식 증진에 기여‣ 연구의 필요성에도 언급했듯이 Tescalcin의 암 관련 연구 보고는 극히 빈약한 상태임. 본 과제 수행으로  Tescalcin과 PD-L1의 상호 기작을 규명하여, Tescalcin이 대장암 면역회피기전을 통한 종양 발생의 주요 인자임을 증명하면, Tescalcin에 관한 국내외 타연구진이 하지 않은 창... | 
                            
                            
                                | 키워드 | 
                                Tescalcin,PD-L1,종양형성 미세환경,종양 면역회피,Extracellular Vesicle,Syn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