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80
2024-05-21
내역사업 | <보안과제> |
---|
과제명 | <보안과제> | ||||
---|---|---|---|---|---|
과제고유번호 | 1345343994 | ||||
부처명 | 교육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6-01 ~ 2022-05-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본 연구 과제의 최종목표는 새로운 식물 광 신호전달 네트워크를 확립하고자 광합성 산물 자당에 의한 파이토크롬의 세포내 위치 조절 기작 규명 및 이를 통한 하단부 광 신호전달 인자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자당을 직접적으로 인지하는 조직 특이적 파이토크롬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파이토크롬 도메인 내 돌연변이가 유발된 다양한 파이토크롬 점 돌연... | ||
---|---|---|---|
연구내용 | 1차년도: 신호전달자로써 자당과 파이토크롬의 상관관계 규명.○ 자당 생합성 및 신호전달 관련 돌연변이체에 CaMV 35S 프로모터 기반 파이토크롬이 발현되는 형질전환체 제작.○ 외부 당 농도에 따른 파이토크롬 단백질의 세포 소기관 내 위치 확인.○ 외부 당 농도에 따른 PhyB 점돌연변이 과발현체 G515E, S584F, G767R에서 파이토크롬 단백질 발... | ||
기대효과 | 자당과 파이토크롬 신호전달 간의 상호작용 및 새로운 광 신호 조절 기작이 밝혀진다면 이는 광 신호전달 연구에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며 광 신호전달 연구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크게 일조할 것이다. 또한 일부 광반응성이 조작된 파이토크롬이 도입된 식물체는 스트레스에 대한 웃자람현상들이 억제되고 광 이용률이 증가되어 있어 소량의 빛으로도 생산성을 극대화시킬 ... | ||
키워드 | 파이토크롬,자당,파이토크롬 상호작용 인자,파이토크롬 점돌연변이,자당 센서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농림수산식품 > 식량작물과학 > 식량작물 생명공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보안과제>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보안과제>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