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개발의 용이성 및 경제논리에 의해 식물성 생물자원 위주의 선호로 소외되고 있는 동물성 생물자원 연구를 위해 아래와 같이 목표화 함1) 현재 유통되고 있는 동물성 생물자원을 중심으로 자원의 표준화2) 과거의 효능 또는 적응증을 현대적 연구 방법으로 입증3) 현대적 적용을 통한 한의학적 재정립4) 연구개발 프로세스를 구축함으로써 후학에게 연구가이드를 제시본 연... |
| 연구내용 |
1) 미활용 생물자원의 실체화 및 한의학적 의미 체계화• 한의 전통서적을 기반으로 유효 소재를 발굴하고 이를 표준화하여 미활용 생물자원의 실체화• 미활용 생물자원의 유효성 및 작용 기전 규명을 위한 현대적 시험법을 개발• 대상 소재에 대한 적합한 법제 개발을 통한 한의학적 활용을 구체화2) 미활용 생물자원의 현대과학적 프로세스 도입 및 실험법 대입화• 대상... |
| 기대효과 |
1) 나고야의정서(ABS)발효에 따라 생물자원을 생명산업의 핵심재료로 간주함. 이에 미활용 전통 소재의 발굴과 보호를 통해, 국내 자원의 다양성 및 자원 고도화에 기여.2) 미활용 생물자원의 유효성 근거 자료 확보를 통해 개발에 가능성을 제시함으로써 산업·경제적 가치창출.3) 비임상-임상 교차 통합 검증을 통해서 미활용 생물자원에 대한 유효성 평가 및 작용... |
| 키워드 |
미활용 생물자원,표준화,초세대 인력 양성,안전성 및 유효성,동식물 생물자원 균형 발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