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시각장애인은 시각 정보가 장기간 배제되면서 일어나는 대뇌의 cross-modal plasticity로 인하여 소리의 주파수 분별력, 시간변화 분석력, 중추청각 처리 능력 등에서 비시각 장애인에 비하여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본연구진들의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음. 그러나 시각장애인들이 정보를 습득하는 일차적인 통로인 청각을 잃었을 때 발생하는 핸디캡... | 
                            
                                | 연구내용 | 【1년차 연구】 시각장애인과 비시각장애인에서 난청의 각 요소가 언어인지력에 미치는 영향의 비교  시각장애인이 난청을 수반하였을 때 어떤 청각능력은 비시각장애인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잘 보존되고 어떤 청각능력은 더 쉽게 손상되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됨. 실제로 난청을 수반하는 시각장애인의 모집은 쉽지 않으므로 정상청력 피험자들을 대상으로 난청에 의해 악화되... | 
                            
                                | 기대효과 | 1) 시각장애인에 특화된 청각재활 전략 수립 2) 난청을 수반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최적화된 청각재활 도구의 개발에 활용3) 난청을 수반하는 시각장애인들의 청각재활에 보청기의 적응기준과 적절한 보장구 급여 기준 제시4) 난청을 수반하는 시각장애인에게 요구되는 인공와우의 특성을 예측하여 mapping 등에 활용 | 
                            
                                | 키워드 | 시각 장애,청각 장애,시각-청각 통합 ,심리음향학,뇌전도,교차형태의 가소성,보청기,인공와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