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최근 발생 및 신경학에서부터 약물 전달학에 이르기까지 새로운 플레이어로서 대두되고 있는 exosome은 세포로부터 분비된 나노미터 크기의 지질 소포로서, 일부 mRNA, Micro RNA, 그리고 단백질 수용체/리간드를 세포 밖으로 이동시키며, 그 결과 정상 세포 간 신호 전달이라는 생리학적 역할 뿐 아니라 종양 미세 환경 조절이나 암세포 전이에도 관여하고... |
| 연구내용 |
RNA polymerase 3 subunit의 하나로 알려진 RPC5는 정상 발생 단계에 있어서 세포 사멸과 성장에 관련된 단백질로서 다른 RNA polymerase 3 subunit인 RPC4, Rpb3, Rpb5와는 다르게 exosome 형태로 세포 밖으로 분비된다. 이러한 RPC5 exosome 분비는 방사선 노출과 같은 damage을 받았을 때 증가... |
| 기대효과 |
방사선 저항성은 현재 암 환자 치료의 1/2 이상 담당하는 강력하고 일반적인 방사선 치료 방법의 걸림돌로서 많은 환자들이 방사선 저항에 의한 암 재발을 경험한다. 따라서 방사선 저항성과 관련된 세포 사멸의 기본 메커니즘을 결정하고 방사선 치료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약리학적 전략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세포 사멸과 같은 기초 ... |
| 키워드 |
세포 사멸,exosome ,방사선 저항성,RPC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