곤충 효소 기반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 플랫폼 기술 개발(1주관)
사업 정보
내역사업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곤충 효소 기반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 플랫폼 기술 개발(1주관) |
과제고유번호 |
1395067295 |
부처명 |
농촌진흥청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1-01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 곤충 유래 효소를 이용한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개발○ 폐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곤충 탐색 및 사육법 개발 |
연구내용 |
1) Reverse genetic 방법을 통한 PE분해 효소 발굴2) Forward genetic 방법을 통한 PE분해 효소 대량 발굴3) 곤충장 2D/3D 생체 외 배양 시스템 최적화4) 나비목에서 플라스틱 섭식, 분해 가능종의 국내외 탐색 조사5) 플라스틱 분해 가능종의 종 진단(형태와 DNA 바코드 분석)6) 플라스틱 섭식 가능성 조사7) 대상종의 생... |
기대효과 |
○ 농업 분야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친환경적 기술 제시○ PE 분해 효소 활성·기능 연구를 위한 표준모델로써 활용 가능 2D/3D 생체 외 배양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G. mellonella larvae에서의 PE분해를 높은 수준으로 모사 가능하며, 향후 PE 분해 효소의 활성 검증을 위한 플랫폼 기술로 활용 가능○ 신기능성 곤충자원의 ... |
키워드 |
플라스틱, 곤충, 분해, 장내환경, 고산소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기타생명과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과학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사업비
국비 |
3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
사업 정보
내역사업 |
미생물 활용 농업 폐플라스틱 분해 기술 개발 |
과제 기본정보
과제명 |
곤충 효소 기반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 플랫폼 기술 개발(1주관) |
과제고유번호 |
1395067295 |
부처명 |
농촌진흥청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0-01-01 ~
2024-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요약 정보
연구목표 |
○ 곤충 유래 효소를 이용한 농업용 폴리에틸렌 분해할 수 있는 플랫폼 기술 개발○ 폐플라스틱 분해를 위한 곤충 탐색 및 사육법 개발 |
연구내용 |
1) Reverse genetic 방법을 통한 PE분해 효소 발굴2) Forward genetic 방법을 통한 PE분해 효소 대량 발굴3) 곤충장 2D/3D 생체 외 배양 시스템 최적화4) 나비목에서 플라스틱 섭식, 분해 가능종의 국내외 탐색 조사5) 플라스틱 분해 가능종의 종 진단(형태와 DNA 바코드 분석)6) 플라스틱 섭식 가능성 조사7) 대상종의 생... |
기대효과 |
○ 농업 분야 폐플라스틱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친환경적 기술 제시○ PE 분해 효소 활성·기능 연구를 위한 표준모델로써 활용 가능 2D/3D 생체 외 배양 시스템을 활용함으로써 G. mellonella larvae에서의 PE분해를 높은 수준으로 모사 가능하며, 향후 PE 분해 효소의 활성 검증을 위한 플랫폼 기술로 활용 가능○ 신기능성 곤충자원의 ... |
키워드 |
플라스틱, 곤충, 분해, 장내환경, 고산소 |
위탁/공동여부 정보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
|
|
|
기술 정보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연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생명과학 > 기타생명과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생명과학 |
주력산업분류 |
|
적용분야 |
하수,폐기물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
중점과학기술분류 |
|
과제유형 |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사업비
국비 |
32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비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