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0
2024-05-21
내역사업 | 농축산 미세먼지 발생 인벤토리 구축 및 영향평가 |
---|
과제명 | 주요 밭작물 재배과정의 미세먼지 발생특성 및 인벤토리 구축(2공동) | ||||
---|---|---|---|---|---|
과제고유번호 | 1395069033 | ||||
부처명 | 농촌진흥청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1-01 ~ 2021-12-31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1-01 ~ 2021-12-31 |
연구목표 | ○ 바이오차 제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 균일화 된 바이오차 제제 적용 농경지 내 미세먼지 원인물질 배출량 산정○ 바이오차 적용 농경지 내 미세먼지 원인물질 인벤토리 구축 배출량 평가 자료의 품질보증 및 품질관리(quality assurance and quality control, QA/QC) 실시 | ||
---|---|---|---|
연구내용 | ○ 바이오차 제제의 현장 적용성 평가 ① 균일화 된 바이오차 제제 적용 농경지 내 미세먼지 원인물질 배출량 산정 시험작물: 봄배추 재배관리: 농진청 작물재배시험법 준수 처리내용: 무처리, 관행처리(화학비료 처리), 바이오차 처리(유·무) (시비량: 농촌진흥청 작물별 시비처방기준) 주요 조사항목 ·처리구 별 미세먼지... | ||
기대효과 | 가. 기술적 측면○ 바이오차 활용 시 농업부산물 및 폐자원 재활용 기술, 탄소격리 기술 및 국내 암모니아 발생량 평가자료 확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이를 통해 제 3국으로 관련 기술의 전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 됨나. 경제적·산업적 측면○ 바이오차의 활용은 농산물의 생산량 증대뿐만 아니라 탄소 격리로 온실가스 거래제(ETS), CDM, REDD+ 사... | ||
키워드 | 미세먼지, 토양개량제, 바이오차, 축산퇴구비, 미생물제재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응용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농림수산식품 > 농화학 > 달리 분류되지 않는 농화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환경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농림수산학 |
국비 | 65,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