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1) 저농도 HF 인증표준물질(5 μmol/mol, 20 μmol/mol, 50 μmol/mol in N2)을 제조하고, 국가표준기관인 KRISS 에서 보급 계획인 HF CRM (50 μmol/mol in N2) 과 소급성 체계를 확립2) KOLAS 표준물질생산기관 인정범위를 확대 (저농도 HF in N2 추가)3) KOLAS 인정범위 확대 후 HF 인증표... |
| 연구내용 |
1) 특성값 및 유효성 확립 - 소급성 확립을 위한 국가표준기관의 CRM 확보 및 비교분석 - 안정성평가를 위한 HF 후보표준물질 제조 - 안정성 평가 및 유효기간 설정 - 특성값 및 최종 불확도 산출2) 표준물질 인정범위 확대 (KOLAS) - KS A ISO Guide 34 에 따른 표준물질 생산프로세스 수립 및 문서화 - KOLA... |
| 기대효과 |
1) KRISS CRM 과 소급성을 가지는 저농도 HF 인증표준물질(5 μmol/mol, 20 μmol/mol, 50 μmol/mol in N2)을 생산하여 산업체에 보급한다.2) 생산된 HF 인증표준물질은 KOLAS 표준물질생산기관 인정범위에 추가하고, KOLAS의 신뢰도를 바탕으로 산업체에 보급함으로써 산업현장에서 HF 측정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
| 키워드 |
불화수소,인증표준물질,불확도,소급성,국제표준물질등록센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