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2단계 목표: 부정적 감정 인식 뇌활성 마커 개발 및 뇌심부 측정 시작품 제작- 2단계에서는 뇌신호와 신체에서 수집되는 생리신호를 통합하여 감정을 디코딩하는 인지 마커를 찾기 위해, 공통된 감정 유발 자극을 사용하면서 각 신호를 수집하고, 공통의 피험자에 대해 실험을 진행하거나 동시에 뇌신호 및 생리신호 수집이 이루어지는 실험을 진행할 계획임. 이를 위해 ... | 
                            
                            
                                | 연구내용 | 
                                [2단계 개발내용]ㅇ개인 맞춤형 부정적 감정 인식 뇌활성 마커 개발ㅇ감정 생리신호 측정패치 시작품 제작 및 성능분석ㅇIn-Ear EEG 측정용 IC칩 설계ㅇ비침습적 뇌심부 자극을 위한 다중 채널 전기 자극 디바이스 설계 및 제작ㅇ뇌심부 기능적 근적외 분광법(dfNIRS) 집적화 ㅇ초음파 변조광 단층 촬영 영상 기술 개발 | 
                            
                            
                                | 기대효과 | 
                                ㅇ경제적 측면- 정신건강 홈케어 시장: 일상 생활 속 과도한 스트레스 및 분노를 조절할 수 있는 정신건강 홈케어 시장 개척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 비대면 셀프케어/치료 시장: 새로운 형식의 비대면 셀프케어/치료 시스템으로써 현재 병원에서 이용되고 있는 바이오피드백 치료보다 낮은 의료비로 높은 효과를 보일 것으로 기대함.- 다른 인터페이스 기술에 기여: ... | 
                            
                            
                                | 키워드 | 
                                감정,뇌심부,비침습,쌍방향 인터페이스,뇌파측정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