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해체 형상관리 플랫폼 설계 - 원전 해체용 드론 시스템 개발 - 시계열 물리형상 변화관리용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 파노라마 VR 기반 물리형상 모델 개발 - 해체원전 Digital Twin 생성을 위한 D-BIM 생성 |
| 연구내용 |
원전해체 형상관리 플랫폼 구성 및 해체사업 통합관리와 연계방안 구축 - 해체사업 통합관리 연계 워크숍 #2 원전 해체 관련한 법규와 기술기준 등 요건관리 - 국내 해체요건 데이터베이스 구축 - 해외 해체요건 데이터베이스 구축 해체 동안 물리적 형상변화 관리 기술 개발 - 드론 Indoor positioning system 개발 - 무선 네트워크 설계 -... |
| 기대효과 |
기술적 측면 - 원전 해체 형상관리에 디지털 트윈 개념의 통합 3D 공학 모델을 적용함으로써 해체 관리상의 정보 불일치 및 인적 오류로 인한 안전성 위해 요소를 최소화하고, 원전 해체의 효율성이 현저히 제고됨. -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 중 하나인 해체용 드론시스템 개발은 정밀측위기술, 항법기술, 자세제어기술, 그리고 영상처리기술 등이 통합된 기술로서 원... |
| 키워드 |
원전해체 , 형상관리 , 3차원 모델 , 해체폐기물 , 드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