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개발 제품의 형상 정의, 유니버셜한 디자인 개발, 기술 검증을 통한 준비 및 시제품 설계 ㅇ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한 니즈 구체화 및 형상 정의 ㅇ 유니버셜한 디자인 요소 도출 및 디자인 설계 검증 ㅇ H/W, S/W의 핵심 기술 요소에 대한 기술적 검증 ㅇ Working Sample 설계, 기구, 회로, S/W 설계 |
| 연구내용 |
ㅇ 기획(User Interface 문서, 제품 사양/형상 정의) - 공동개발기관 - 실사용자의 상세한 니즈(needs) 분석 및 형상 정의 ·사용자 요구서, UI(User Interface) 문서, Class Diagram, Test Case, 사용적합성 평가표 등 작성ㅇ 제품 디자인(아이디어 스케치, Rendering, Design mockup,... |
| 기대효과 |
□ 연구 개발 성과 활용 ㅇ 시각·척수 장애인 및 노인의 접근성 향상을 통한 삶의 질 향상 도구로 활용 - 다양한 스마트 기기의 개발 및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장애인 및 노인을 위한 접근성은 고려되지 않음으로 불편함이 증가되고 있으며, 본 제품을 통해 장애인 및 노인의 접근성 향상을 통한 자립 생활 지원 도구로 활용□ 최종 기대 효과 ㅇ 주요... |
| 키워드 |
인에이블링 ,시각장애인 ,척수장애 ,음성인식 ,웨어러블 디바이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