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기존 도료의 경우 도퉁, 어지럼증, 아토피성 피부염, 천식 등의 발생원인인 포름알데히드와 톨루엔, 유기화합물 등의 화학물질이 발생하게 되며, 화재 발생 시 유독가스가 발생하여 화재 사망률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에서는 도료를 제조할 때 휘발성 유기화합물(VOCs)이 적게 함유된 도료만 판매하도록 도료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 함유기준을...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실내 오염물질 개선용 기능성 도료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시공성을 기존의 기능성 도료보다 향상시키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입상형 활성백토를 사용한다. 활성백토는 산성 백토에 화학적 처리를 하여 흡착력을 크게 한 흡착재이다. 입상형 활성백토를 체가름을 통해 입자 크기별로 구분한 후 도료와 혼합하여 흡착성능 및 시공성을 평가한다. ... |
기대효과 |
본 연구는 시공성 향상을 위한 실내 오염물질 개선용 기능성 도료를 개발을 통해 시공성 저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건조시간 및 점도 등으로 인한 표면의 박리, 접착 강도 저하 등 기존 도료의 시공성 문제를 해결한다면 차후 제품개발에 있어 다양한 조건에서 우수한 제품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2017년 기준 도료분야에서 방출되는 약 백만톤의 VOCs를 저감... |
키워드 |
도료,시공성 ,입상형 흡착재,실내 오염물질,활성백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