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각 연구기관들의 핵심경쟁력을 활용하여 고성능 유/무기 복합 봉지막 제작에 필요한 요소 기술의 확보가 가능한지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2단계 전략협력 RD 기술 개발의 방향을 확립.구체적인 개발 성능 목표는 다음과 같음.- 자발광 소자 수분/산소 봉지용 low-k 박막 소재 개발- 유전상수 (k): 3.0 이하의 유/무기 하이브리드 박막 제작이 가능한 전구체... |
연구내용 |
1차년도엔 개발하고자 하는 박막의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전구체를 발굴하는 것이 목표임.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음.- 저유전 상수의 봉지막용 무기막 전구체 발굴 및 봉지특성 평가 - 박막형 접착제 증착을 위한 전구체 발굴 및 접착 가교 반응 설계- 자발광 소자 수분/산소 봉지용 low-k 박막 소재 개발- 저유전율 박막 제작이 가능한 전구체 소재 1종 확인... |
기대효과 |
- 기술적 기대효과 - 저유전율 막 제조 기술의 국산화를 통한 기술 자립도 확립 - 유/무기 복합 저유전율 소재 발굴을 통한 전구체 기술 선점. - 초격차 혁신 소재의 선제적 확보를 통한 차세대 국가 기술 확보.-경제적 기대효과 - 저유전율 막 공정장치의 대외 기술의존도를 탈피하고, 저유전율 소재기술 자립으로 수출규제 대응 및 ... |
키워드 |
저유전율 소재,유무기 복합막,유연 봉지막,초박막 접착제,유연 터치 센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