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o 최종목표: 여러 명의 화자가 발성하는 자연스런 대화 내용을 화자별로 분리·분류해서 문자화하고, 감정을 분석하며 텍스트를 정제·강조하여 문서화를 지원하는 인공지능 원천기술 개발o 결과물 - 개별 마이크로폰 기반의 다수 화자 대화환경 음성인식 서버(SW) 및 테스트베드(HW) . 개인형 마이크로폰(탁상용 마이크로폰, 헤드셋, 또는 마이크로폰어레이 등... |
연구내용 |
주관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화자 병렬 음성인식 기술 고도화, 시스템 통합- 화자 분리 및 식별 기술 고도화, 시스템 통합- 오류복원 및 후처리 기술 고도화, 시스템 통합- 감정인식 기술 고도화, 시스템 통합- 마이크로폰어레이 기반 테스트베드 시스템 통합, 기능/성능 개선 참여기관 1: SK텔레콤㈜- 적응형 빔포밍, 발성위치 추적, 음성향상 기술 고도... |
기대효과 |
o (기술적 측면) - 다중화자간 대화를 화자별로 분리, 자동인식하며 발화자의 감정 상태를 분석하는 고난도 첨단 대화음성 인식기술 확보 - 다양한 입력환경을 고려한 잡음강인 전처리 기술, 마이크로폰어레이에 기반하는 음성 입력 플랫폼, 대화체 구사 시의 비정형 음성인식 기술 등 핵심원천 기술 확보 - 다양한 사업모델 및 도메인에 따른 적응학습 문제... |
키워드 |
감정인식,다중화자 음성인식,대화체 인식,텍스트 정제 및 강조,화자구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