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49
2024-05-22
내역사업 | 우수신진연구 |
---|
과제명 | 종양미세환경 극복 및 암조직 표적화를 위한 재조합 히알루론산분해효소 융합단백질 기반 나노약물전달플랫폼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6559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6-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 종양미세환경 극복 및 암조직 표적화를 위한 재조합 히알루론산분해효소 융합단백질 기반 나노약물전달플랫폼의 제조 및 평가 ◦ 선행연구에서 확보한 히알루론산분해효소(hyaluronidase, Hydase)관련 원천기술을 바탕으로, 항체·혈장단백질·효소·펩타이드와의 재조합 Hydase 융합단백질(recombinant fusion protein)을 설계하고 발현... | ||
---|---|---|---|
연구내용 | ▶ 1차년도 연구 내용 ◦Hydase 융합단백질 발현시스템 확립 - 선행연구에서 확립된 대장균(E. coli) 기반 Hydase 발현시스템의 융합단백질 생산에 대한 적용 및 최적화 - 효모(P. pastoris) 기반 Hydase 융합단백질 발현시스템 확립 및 최적화 - 형질전환 대장균·효모 세포주 구축 및 배양을 통한 Hydase 융합단백질 발... | ||
기대효과 | ▶ 기대효과 ◦ Hydase는 다당체 분해효소이므로 단백질을 분해시키지 않기 때문에, 현존하는 단백질 기반 항암제(antibody 및 enzyme 등)와의 융합단백질 제조시 autolysis의 문제점이 없음. 또한 Hydase는 단백질 분해해효소와 달리 안전성이 충분(100 μg/mL의 수준까지 무독성)하여 ECM을 분해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진 의약품으로... | ||
키워드 | 히알루론산분해효소,융합단백질,단분자 단백질 나노입자,단분자 효소 나노입자,암조직 침투능,암조직 표적능,종양미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신약·의약품 개발 > 약물전달시스템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충남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국비 | 146,6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