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29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
과제명 | 수화된 2차원 소재의 정확한 전자 구조 예측을 위한 용매화 모델이 결합된 GW/BSE 이론 개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776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6-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밀도 범함수 이론 (DFT)은 소재의 다양한 전자구조적 성질을 예측하는데 유용한 방법이지만, 단일 입자 근사에 기반한 콘-샴 (Kohn-Sham) 오비탈의 고유값 (eigenvalue)으로 에너지 준위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부정확함이 알려져 있음.- 반면, GW/BSE 이론은 다체계 이론으로 소재의 정확한 밴드 위치 계산 및 광... | ||
---|---|---|---|
연구내용 | - 최근 2차원 물질을 이용한 광(전기)화학 소재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 이러한 광(전기)화학 촉매는 용매 내에서 구동되고 있지만, 현재 대부분의 이론 방법은 진공 내에서의 전자 구조 연구에 집중되어 있음.- 3차원 벌크 상태가 아닌 원자 단일층과 같은 2차원 물질이 되면, 밴드를 형성하는 오비탈들이 외부에 쉽게 노출되고, 외부에 용매가 존재할... | ||
기대효과 | - 본 연구를 통해 확립된 방법론을 통해 고성능 광촉매 또는 광전기화학전지용 2차원 소재에 대한 정확한 밴드 위치를 파악할 경우, 실제 촉매가 반응하는 환경에서의 밴드 관계를 통해 전하 전달과 같은 광반응들의 메커니즘 분석 및 예측이 가능함.- 또한 복잡한 계면에서의 GW/BSE 계산을 통해 얻은 결과를 통해, 유효 질량(effective mass)이나 생... | ||
키워드 | 2차원 소재,광/전기화학 촉매,용매화 효과,GW 근사,Bethe Salpeter 방정식,밴드 구조,엑시톤 결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ET(환경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화학 > 물리화학 > 양자화학/전산화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에너지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217,063,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