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에너지 변환 및 생산을 위한 전기화학 반응을 기반으로 하는 많은 실질적인 장치들은 그다지 높지 않거나 혹은 상온에서 작동하기 때문에 산화/환원 반응의 활성화 장벽을 크게 낮추고 전체 저장 및 변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적절한 전기화학 촉매를 사용해야 한다. 수소는 가볍고 액화시켜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미래 에너지원으로 다양한 수소공급... |
| 연구내용 |
(1) 안정화 구조를 위한 구조 화학적 접근 (STRUCTURES)본 중견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금속이온을 고려하고 이것에 대한 구조 화학적 이해를 통한 열역학적 예측이 필수적이다. K, Na, Rb 등의 알칼리 원소 및 Mg, Ca, Sr, Ba 등의 알칼리토족 원소를 포함하면서 전이금속과 고용을 이룰 수 있는 복합 산화물은 80여개 이상이다. 이들에 대... |
| 기대효과 |
수소는 에너지를 방출하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물만 배출하기 때문에 지속가능한 청정에너지원 중의 하나이다.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수소는 대부분 화석연료의 개질에 의해 생산되고 있으며 1 kg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7 kg 이 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 수소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투입되는 에너지와 자원이 지속가능하고 재생 가능해야 수소를 청정에너지원... |
| 키워드 |
산화물,결정학,에너지재료,물분해,수소 생산,이론계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