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뇌졸중 환자에서 손상된 하지 운동기능 및 보행기능을 최대한 복원할 수 있도록 손상 및 회복에 대한 유형별 모델을 수립하여 보행재활 프로토콜을 정립하고, 차세대 개인 맞춤형 뇌자극-재활로봇 융합 시스템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다음의 사항을 목표로 함.▷ 운동 피질의 뇌가소성을 증대하여 빠른 기능 회복을 도울 수 있는 비침습적 뇌자극 회로 개발▷ 환자 개인별 운... |
| 연구내용 |
▣ 2단계 목표: 뇌졸중 환자의 보행 기능 회복을 위한 로봇 재활 융합 가능한 뇌자극 플랫폼 개발, 유효성 검증 지원, 및 상용화병원에서 환자가 로봇과 함께 뇌자극 기기로 손쉽고 효율적으로 재활치료를 할 수 있도록 선정된 두뇌 자극 위치와 자극 센서의 위치 및 로봇 재활 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통합 제어 기술 개발인공지능 기반의 뇌자극-로봇 재활 통합 시스... |
| 기대효과 |
▷ 활용계획정밀 뇌자극 의료기기 원천기술 상용화를 통한 의료기기 사업 글로벌 경쟁 우위 확보뇌질환 분야 로봇-인공지능 융합 의료기기 원천기술 확보▷ 기술적 기대효과뇌질환 치료 기술 우위 선점 및 의료기기 원천기술 확보뇌질환 정밀의료 및 재택 치료를 위한 기반 기술 확보▷ 경제적 산업적 기대효과국산화를 통해 기존 뇌졸중 치료를 위해 수입 약에 의존하던 부분(... |
| 키워드 |
인공지능,로봇,뇌자극,맞춤형,뇌신경재활,재활 훈련,비침습,뇌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