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광전기화학 (photoelectrocatalytic: PEC) 반응을 통한 물분해 수소생성 시 변환효율이 낮고 산·염기 전해질의 수용액에서의 장기안정성 문제점을 극복할 신소재 및 소자 원천기술을 개발하고자 함 (그림 1). 이를 위해 (i) PEC 금속-절연막-반도체 (MIS) 소자에서 기존 금속-절연막의 기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금속나노입자-유기절연 2D... |
| 연구내용 |
▣ 1차년도: PEC MIS 소자에 최적화된 2D 유기절연 소재 개발- 400℃ 이하에서 충분한 플라즈마/열분해와 반도체 기판 위에서의 sp2 혼성화 반응이 가능한 다양한 기체상/액체상의 전구체 발굴 및 선택- 전구체의 유량, 분압 및 합성온도 조건에 따른 합성된 단층 2D 소재의 구조 및 결정성 분석을 통해 합성 메커니즘 연구 - 2D vdW 소재... |
| 기대효과 |
▣ PEC 수소생성 원천기술 확보 및 새로운 돌파구 기반 마련 “원자층 두께의 2D vdW 소재를 활용한 계면 제어” 및 “금속-유기 하이브리드 2D 소재의 단일 합성공정 개발”이라는 독창적인 연구주제는 PEC MIS 소자에 vdW 나노소재 활용의 패러다임을 혁신하는 연구이며 계획된 연구성과를 얻는다면 세계적으로 주목받는 연구 업적을 도출할 수 있음. 또한... |
| 키워드 |
광전기화학,MIS 소자,물분해 수소생성,2D 유기절연층,금속-유기 하이브리드 2D 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