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유/무기 광감응소재로부터 광여기된 전자에 의한 산화환원 생체촉매의 활성화 및 아밀로이드 펩타이드의 자기조립 제어 현상을 연구하고, 이를 인공광합성 기반 고부가가치 화학물질/연료 생산 및 아밀로이드 응집억제를 통한 알츠하이머 동물모델의 광역학적 치료에 응용하는 것을 최종목표로 한다. |
| 연구내용 |
2단계 연구에서는 광여기전자의 직접 전달을 통한 산화환원효소들의 광활성화 및 광역학적 아밀로이드 응집억제 메커니즘 연구를 수행하였다. 질소로 도핑된 탄소나노점을 합성하여 NADH 유사체를 광화학적으로 재생성하여 구황색 효소의 비대칭적 수소첨가반응을 진행했고, 인슐린 기반의 아밀로이드 나노 구조체에 티오플라빈 T를 결합하여 NADH를 재생성한 후, 이를 효소... |
| 기대효과 |
인공광합성기술은 에너지원으로 무한한 태양광을 사용하여 화학연료, 정밀화학제품 등을 생산한다는 장점 때문에 그 파급효과가 매우 크며,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빛을 이용한 보조인자 비의존적 생체촉매기반 인공광합성 시스템을 이용한 의약품 개발 및 다양한 바이오연료의 생성에 관한 연구는 아직 시스템 구축이 이루어진 바가 없는 독창적인 연구임. 또한 초고령사회 진입을... |
| 키워드 |
생체촉매,효소공학,광감응소재,자기조립,인공광합성,아밀로이드,펩타이드,바이오소재,알츠하이머 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