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우주용 초경량 광학소재에 대한 연마 예측성을 강화하고, 비축 비구면 반사경의 형상을 정확히 정의하며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기반연구를 수행한다.- 우주용 초경량 소재의 연마 단위부피 획득 및 분석, 이를 통한 최적 입력변수 예측기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기본데이터를 확보한다.- 비축 비구면 광학면의 수식적 정의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물리량(자오면)을 측... |
| 연구내용 |
- 우주용 초경량 소재의 연마 단위부피 분석 연구 . 연마 단위부피인 공구영향함수(TIF; Tool Influence Function) 패턴 형성 . 형성된 패턴을 분석하여 연마 입력변수들과 TIF와의 관계함수 정의 . 측정된 TIF 관련 물리량으로부터 연마 입력변수를 역으로 제안한 실험 데이터 확보 . TIF와 연마 입력변수의 상관성 재해석... |
| 기대효과 |
인공위성 광학계의 경량화는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위성체개발사업에서 요구조건으로 제시하는 매우 자명한 요구사항 중 하나이다. 무게를 가볍게 하는 방법은, 소재자체의 무게를 줄이는 방법과 광학계의 구성형상을 최적화하는 방법이 있다. 본 기초 연구룰 통하여 개발될 '연마 단위부피 분석 연구'를 통하여, 강성이 높아서 경량화에 매우 유리하지만 동시에 경도가 높으므로... |
| 키워드 |
초경량,비축 비구면,반사경,연마,측정,광학소재,공구영향함수,신소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