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 홈뷰티 및 의료기기, 자동차 분야에 활용되는 발전과 냉각 특성을 가지는 50% 연신율과 0.5 이상의 열전성능지수(zT)를 동시에 갖는 고연성-고효율 하이브리드 열전소재 개발하고자 함.o 키랄리티(chirality) 제어 및 무기소재와 복합화를 통한 나노카본 기반 고효율 하이브리드 열전소재 개발o 포논 소프트닝을 통한 하이브리드 열전소재의 낮은 열전도특... |
| 연구내용 |
? 고효율 유·무기 하이브리드 열전소재 개발 ·공액고분자를 활용한 키랄리티가 제어된 CNT기반 고전도 열전소재 개발 ·전기화학법을 활용한 다형상/다성분 고효율 열전소재 개발 ·나노구조체 도입 및 기공밀도 조절을 활용한 열전소재의 열전도도 제어 ? 3차원 구조 고연성 유·무기 하이브리드 열전소재 개발 ·다공구조의 고연성 foam 열전소재 개발 ·전기방사를 ... |
| 기대효과 |
? 최종 확보 기술은 고연성-고효율 열전·냉각 원천소재로 본 기술개발 시 수반되는 전극, 접합, 소자 및 모듈 설계기술 등 다양한 요소기술들이 축적될 것임. ? 현재 고연성-고효율을 동시에 만족하는 열전소재의 경우 논문 및 특허를 비롯한 기반기초 기술이 전무한 상태로 기술선점이라는 과학·기술적 파급력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를 지니는 신기술의 ... |
| 키워드 |
자유형상형 반도체소재,열에너지 활용,고연성,고전도,하이브리드 열전반도체,3차원 구조,분자구조제어,열전냉각기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