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암성 악액질(Cancer cacheixa) 모델에서 획득한 전사체 정보 분석을 바탕으로, 악액질과 연관된 1) 전사 조절 패턴을 동정하고, 2) 치료 표적 및 후보 약물 발굴을 위한 효율적인 생명정보 분석법을 개발하여 3) 도출된 약물의 효능을 검증함으로써 암성 악액질 치료제 개발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함. |
| 연구내용 |
1. 암성 악액질 전사체 데이터 생산 및 생명 정보 분석 인프라 구축-대장암 이식 후 악액질이 유도된 마우스의 종양, 근육, 지방 조직 확보 및 조직 별 전사체 (RNA-seq) 생산-공개된 암, 암성 악액질, 약물의 전사체 등 공개 정보 수집 및 통합 데이터베이스(DB) 구축 (mouse, human)-암성 악액질 관련 유전자 발현 시그니처 및 전사 조절... |
| 기대효과 |
- 빅데이터 기반 효율적인 치료 표적, 치료제 발굴 방법의 확립으로, 신약 개발 산업의 효율성 및 경쟁력 제고- 발굴한 치료제로 인해 암환자의 항암치료 효율 및 삶의 질을 향상하여 국가/가계 단위의 경제적 부담 감소- 질환 모델의 전사체 정보를 이용해 치료 표적과 후보 약물을 발굴하는 체계적인 플랫폼 공개 웹서비스 구현 - 개발된 치료 표적 및 후보 약물 ... |
| 키워드 |
암성 악액질,근위축,약물유전체학,신약재창출,치료 표적 발굴,화합물 구조,전사체,마이크로바이옴,기계학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