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51
2024-05-22
내역사업 | 생애 첫 연구 |
---|
과제명 |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하여 자기공명영상의 내림프수종을 통해 메니에르병의 객관적 진단기준, 치료방향, 예후 제시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9268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4-02-29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메니에르병은 전체 어지럼증 환자의 10%를 차지할 정도로 임상에서 흔히 접하는 내이 질환으로 1861년 Prosper Meniere에 의하여 처음 보고되었다. 2015년 Barany Society에서 메니에르병의 유형을 definite와 probable의 2가지로 나눠 제시한 진단 기준이 가장 널리쓰이지만 아직까지 객관적인 진단법이 제시되지 못하였다. 이를... | ||
---|---|---|---|
연구내용 | 1. 연구대상 2015년 Barany Society에서 제시한 진단 기준에 따라 definite 메니에르병으로 진단받은 환자군 100명 그리고 기타 어지럼증을 주소로 내원한 대조군 100명을 대상으로 한다. 어지럼증 치료를 위해 수술을 받거나 고실내 약물 주입을 시행한 경우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한다. 2. MRI 영상 획득 32-channel hea... | ||
기대효과 | 임상적으로 흔한 질환임에도 불구하고 메니에르병은 임상증상과 순음청력검사에 의존하는 등 객관적인 진단법이 없는 실정이다. 본 연구를 통해 메니에르병 환자의 객관적 내림프수종비 값으로 구해진 기준이 정확한 진단에 도움이 될것이다. 메니에르병의 치료에는 진정억제제와 항구토제 등의 약물 요법과 식생활 개선, 고실내 스테로이드 주입, 수술 등 다양한 방법이 사용되는... | ||
키워드 | 진단기준,딥러닝,메니에르병,내림프수종,자기공명영상,인공지능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임상의학 > 영상의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을지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을지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국비 | 30,655,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