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37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
과제명 | 중성미자 연구의 새로운 방향 | ||||
---|---|---|---|---|---|
과제고유번호 | 1711129877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4-02-29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중성미자의 성질은 명확히 규명되어있지 않은데, 이는 표준모형의 다른 입자들과 달리 아주 작은 크기의 상호작용인 약력에만 반응하기 때문에 그 성질을 밝히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중성미자 연구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다양한 양(질량, CP phase 등)의 측정 외에도 잠재적으로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로운 물리를 찾을 수 있는 유력한 통로가 될 수 있다.기존의 중... | ||
---|---|---|---|
연구내용 | 기존의 중성미자 연구는 크게 2가지 방향으로 구분 (편의상 중성미자와 반중성미자를 구분 없이 사용)제1방향: 표준모형의 다른 입자들을 통해서 중성미자를 생성하는 것이다 (neutrino production). 예로, Z 보존 붕괴가 있다. Z 보존 붕괴에서 측정되는 Z decay width는 중성미자 수에 따라서 달라지며, 역사적으로 가속기 실험에서 이를 ... | ||
기대효과 | 중성미자는 그 존재가 일찍이 확인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작은 상호작용의 크기로 인해서 실험이 상대적으로 까다롭기 때문에, 그 정확한 성질이 완전히 규명되어 있지 않다. 이제 힉스 보존의 발견 등으로 입자물리의 표준모형이 거의 완성되어가는 시점에 중성미자의 정확한 성질의 이해는 입자물리 이론의 완성에 있어서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 중성미자와 관련하여 다양한 퍼... | ||
키워드 | 중성미자,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물리,원자로,중성미자 상호작용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기타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자연 > 물리학 > 입자/장물리 > 입자물리현상론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교육 및 인력양성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이학 |
국비 | 244,947,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