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69
2024-05-22
내역사업 | 우수신진연구 |
---|
과제명 | 2차원 이온-금속산화물을 이용한 전기화학적 상변화 기반 멀티 레벨 메모리 소자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0129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21-03-01 ~ 2024-02-29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연구목표: 알칼리 금속 이온이 층간 삽입되어있는 2차원 이온-금속 산화물 신물질 개발과 이 신물질을 활용하여 전기화학적 상변화 기반 멀티레벨 메모리 소자를 개발본 연구제안의 목표 달성하기 위해서 첫 번째로 알칼리 금속이 층간 삽입된 2차원 이온-금속 산화물 신소재 성장 및 MOCVD 대면적 박막 공정 개발이 필요하다. 이온-금속 산화물 물질계의 열역학적 이... | ||
---|---|---|---|
연구내용 | (1) 본 연구팀은 초기 연구로 MOCVD 공정을 이용하여 포타슘 이온이 층간 삽입된 2차원 δ-MnO2 (K-MnO2) 신물질 성장을 세계 최초로 성공하였다. MOCVD 방식은 원자층 레벨로 정확하게 두께 및 조성을 수평, 수직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알칼리 금속 이온 전구체의 농도를 정확히 제어하는 것이 중요한 δ-MnO2의 대면적 성장에 최... | ||
기대효과 | (신재료 성장) 2차원 반도체 물질이 그동안 많이 연구 되었지만 2차원 산화물 반도체 물질이 상대적으로 연구가 안 되었던 이유는 열역학적으로 박막 형태의 산화물이 안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알칼리 금속 이온을 성장 과정에 주입시키면 알칼리 금속의 층간 삽입으로 인해 열역학적 에너지가 안정이 되어 기존에 관찰 되지 않았던 새로운 물질이 만들어질 수 있다. 해당... | ||
키워드 | 금속 산화물,2차원 반도체,상변화 재료,인터칼레이션,멀티레벨 메모리 소자ul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NT(나노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인공물 > 재료 > 기타재료 > 달리 분류되지 않는 재료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지식의 진보(비목적연구)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한국과학기술원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공학 |
국비 | 142,838,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