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자
36
2024-05-22
내역사업 | (유형1-2)중견연구 |
---|
과제명 | 정기(正氣) 중심의 Seed-Soil의 단계적 제어전략을 통한 대장-간전이 억제 한약소재 신약후보 발굴 및 기작 연구 | ||||
---|---|---|---|---|---|
과제고유번호 | 1711130230 | ||||
부처명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시행계획 내 사업명 | |||||
시행계획 내 사업유형 | 예산출처지역 | 대전광역시 | 사업수행지역 | 대전광역시 | |
계속/신규 과제구분 | 신규과제 | ||||
과제수행연도 | 2021 | 총연구기간 | 2019-09-01 ~ 2023-02-28 | 당해연도 연구기간 | 2021-03-01 ~ 2022-02-28 |
연구목표 | 전이는 암이 진행되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일어나는 암의 가장 대표적인 특성으로 암에 의한 사망에 90%를 차지함. 임상적인 암전이의 발견은 말기에 이뤄지는 듯하지만, 실제로 세포수준에서의 암의 전이는 매우 이른 시기에 시작되기 때문에 임상적인 발견보다 훨씬 이전에 전이에 대한 치료는 시행되어야 함. 그동안 암전이는 암조직이 성장하면서 취득해 나가는 유전자변이... | ||
---|---|---|---|
연구내용 | 1-2년차 (18개월)1) 대장-간전이 억제효능을 갖는 2개의 최종후보물질 도출: 補氣, 補血, 瘀血, 痰飮을 치료하는 처방 및 간질환의 대표약물인 生肝健脾蕩을 비롯한 선행 선별된 10개 한약물 리스트 (단삼, 사인, 울금, 한인진, 건칠목, 지실 등)의 30% 에탄올 추출물에서, Spleen injection을 통해서 유도시킨 대장암 세포주의 간전이 모델... | ||
기대효과 | 1) 한의학 이론근거의 연구로 항암치료 진료현장의 문제해결형 성과 기대: 암세포/암조직 제거를 목표로 하던 서의학적 치료와 달리, 한의학적 암치료는 전이를 억제하고 재발을 예방하는 목표와 전략이 가장 경쟁력 있음. 하지만 아직까지 이에 대한 과학적 성과는 절대적으로 부족한 현실이며, 본 연구는 이러한 임상현장의 커다란 요구에 충실히 부응할 것임. 2) 한약... | ||
키워드 | 암 전이,한의학,미세환경,대장암 간전이,전이 억제,한의학 |
단독연구 | 기업 | 대학 | 국공립(연)/출연(연) | 외국연구기관 | 기타 |
---|---|---|---|---|---|
|
연구개발단계 | 기초연구 | 산업기술분류 | |
---|---|---|---|
미래유망신기술(6T) | BT(생명공학기술) | 기술수명주기 | |
연구수행주체 | 학 | 과학기술표준분류 | 생명 > 보건의료 > 한의과학 > 한의기초과학 |
주력산업분류 | 적용분야 | 건강 | |
중점과학기술분류 | 과제유형 |
과제수행기관(업) 정보 | 과제수행기관(업)명 | 대전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
연구책임자 | 소속기관명 | 대전대학 | 사업자등록번호 | |
최종학위 | 박사 | 최종학력전공 | 의약보건학 |
국비 | 150,000,000 | 지방비(현금+현물) | 0 |
---|---|---|---|
비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