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목표 |
-약물유도성반수체부족성 (drug-induced haploinsufficiency) 원리에 기반한 기존 분열효모와 microarray 방법을 활용한 생체 약물작용점 분석 시스템은 barcode의 hybridization 시 mutation에 의한 에러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음 -본 연구에서는 상기의 에러 요인을 제거하기 위하여 분석방법을 microarray... |
연구내용 |
분열효모 유전자 적중 균주의 최적화-체계적 분석에 사용되는 기존의 분열효모 유전자 적중 균주 pool의 경우, 에러를 유발하게 되는 outlier 균주 (바코드 불량, 형태 이상, slow growing 등)가 존재함-상기의 불량 요인을 점검하고 개선하고, 균주 pool 및 샘플링의 SOP를 확보함2. NGS 기반 생체 약물작용점 분석 시스템 구축 및 고도... |
기대효과 |
-개발중인 약물의 생체 약물작용점 신속 탐색 및 신약 연구개발 기간의 단축-또한 off-target을 조기 파악하므로서 부작용 최소화-기업 기술이전을 통한 기업의 관련 제품 글로벌 판매 가능-국가 신약개발 연구 시 타겟 발굴의 플랫폼 기술로 활용 |
키워드 |
생체 약물작용점,분열효모,바코드,약물유도성반수체부족성,차세대 염기서열분석,상호간섭,유효물질,형태 이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