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지방세포 탈분화 현상의 분자세포 기전을 밝히고 생체내 에너지 대사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대사질환 분야에 새로운 치료 패러다임을 확립하는 것이다.▶ 생체 내에서 최종단계로 분화한 지방세포의 탈분화 (dedifferentiation) 현상이 최근 발견됨에 따라, 지방세포 탈분화 조절 원리와 생리적 기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 |
| 연구내용 |
지방세포 분화는 중간엽줄기세포로부터 발생하여 지방세포 전구체를 거쳐 마지막 발생단계에 이른다. 탈분화는 세포가 분화된 단계로부터 계통을 역행하는 현상으로 주로 생체 외 배양조건에서만 관찰되었기에 지금까지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하지만 최근, 탈분화 또는 재분화 현상이 인체의 정상생리 조건에서 관찰됨에 따라, 그것이 생체 내에서 실제로 이루어지는 생명현상임이... |
| 기대효과 |
탈분화란, 세포가 부분적으로 또는 최종적으로 분화된 단계로부터 계통을 역행하는 현상이다. 아직은 그 정체와 역할들이 정확히 규명되지 않아서 신기한 생명현상 정도로만 받아들일 수밖에 없으나 분명, 이 생명현상은 재생치료 영역 또는 후생유전학적 변화를 겪은 세포 대사기능을 조절하는 기술 실현에 획기적 가능성이 예측되고 있어서 적극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탈분화 ... |
| 키워드 |
지방세포,탈분화,히포신호전달체계,비만,인슐린저항성,대사질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