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기존 임대아파트는 저가형 주택이라는 편견으로 슬럼화와 공간적 격리로 인하여 사회적 배제 현상을 물질적인 측면 뿐만 아니라 정신적인 측면까지 거주민들의 차별과 빈곤을 야기하고 있다. 임대아파트가 가지고 있는 부정적 인식을 바꾸고 저소득층의 주거안정과 거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임대아파트 단지 자체의 재생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사회적 통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
| 연구내용 |
본 연구는 총 3년에 걸쳐 이루어진다. 연차별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을 분석하고, 2차년도 연구에서는 커뮤니티시설을 통한 사회통합적 전략방법을 모색하고, 3차년도 연구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재생을 고려한 커뮤니티시설의 모델을 제안한다. 1차년도 연구는 커뮤니티시설의 현황을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임대아파트 거주자들의 성향을 조사하고, 임대아파... |
| 기대효과 |
본 연구의 기대효과는 다음의 3가지로 논의될 수 있다. 첫째, 사회통합적 재생측면에서 임대아파트 커뮤니티시설의 계획 모델 제시한다.커뮤니티시설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사회적 통합이 이루어지고 궁극적으로는 도시재생이 일어날 수 있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임. 적정한 공간 규모, 프로그램의 유형화, 사용자특성을 고려한 공간계획을 통해 커뮤니티시설 계획 모... |
| 키워드 |
임대아파트,커뮤니티시설,사회통합,도시재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