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목표 |
본 연구의 목표는 와해된 왜소은하(disrupted dwarf galaxy)에서 유입된 별들의 화학적, 역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우리은하의 형성역사를 규명하는 것이다. 왜소은하에서 유입된 별들을 찾기 위해 SDSS와 LAMOST에서 얻어진 약 6백 만개 별의 저분산 스펙트럼과 가이아 위성이 측정한 고유운동, 거리 등으로부터 도출되는 이 별들의 화학적, 역학적... |
| 연구내용 |
정교한 은하형성 수치모의실험은 우리은하가 다양한 질량을 가진 왜소은하와의 병합으로 크기가 커지면서 형성되었을 것이라 예측한다. 병합으로 인해 왜소은하로부터 우리은하로 유입된 별은 모 왜소은하의 동역학적 특성과 화학적 정보를 간직하며 위상공간과 화학원소함량비 공간에서 비슷한 특성을 보이며 과밀도 영역을 형성하고 주변 배경별과는 다른 양상을 보이는 하부구조를 ... |
| 기대효과 |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별의 표본은 기존 연구보다 수십 배 더 많은 별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원반에서부터 외헤일로까지 다양한 우리은하 영역에 대한 합병역사를 탐구하여 우리은하 전체의 합병과 형성역사의 규명을 기대할 수 있다. 이는 우리은하 뿐만 아니라 다른 나선은하의 형성과정을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고, 은하형성 수치모의실험에도 강력한 관측적... |
| 키워드 |
우리은하,원소함량비,왜소은하,항성역학 |